• 고귀한목표 • 영적 감정지능 SEQ • 김대영
9월 21일, 세계 평화의 날을 맞아 템플(Temple)이란 단어에 대해 살펴 보았어요. 한국에서는 템플을 흔히 불교 공간으로만 생각해요. 실상은 세계 곳곳의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템플이 평화와 포용, 공존의 상징으로 활용되고 있어요. 이 정보는 우리의 생각을 새로운 세계로 열어줍니다. 세계 유명인사들이 여러 나라의 템플에서 치유와 문화, 평화의 메시지를 전한 스토리를 함께 따라가 보겠습니다. (출처: 클릭) 9/11 테러로 큰 상처를 입었던 미국에서는, 해마다 다양한 종교 지도자들이 ‘템플’에서 합동 추도와 평화 기도식을 진행합니다. 교황 프란치스코, 유대교와 힌두교·이슬람교 지도자가 함께 자리한 그 현장은 한 공간에서 신념을 넘어선 유대와 공존을 보여줍니다. (출처: 이미지를 클릭)
• 고귀한목표 • 영적 감정지능 SEQ • 김대영
“한강의 기적”이란 말을 들었던 한국인들의 DNA에 대해 호기심이 많은 탄탄입니다. 전쟁의 폐허에서 결국은 다시 일어서내고, 거기서 멈추지 않고, 선진국 대열까지 들어간 우리 한국인들에 대해 무척 궁금합니다. 그 비결이 어떤 것이라고 여러분은 생각하나요? 저는 가족들이 더 이상 배고프지 않도록, 나라를 잃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만들고 말겠다는 고귀한 목표 Noble Goals가 뿌리였다고 생각해요. 그 선조들의 기여로 이젠 배고픔은 없고, 더구나 K Culture로 우리 나라를 찾는 외국인들의 숫자도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귀한 목표 Noble Goals”를 일상으로 다시 가져오는 일, 저에게는 소중한 의미가 있어요.
• 고귀한목표 • 영적 감정지능 SEQ • 김대영
집중이 안 될 때, “나는 이렇게 한다”는 방법, 어떤 것을 갖고 있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효과적인 방법을 소개하여 해요. 여러분은 삶에서 ‘고귀한 목표 Noble Goals’라고 부를 만한 것으로 어떤 것을 갖고 계신가요? 돈이나 성취 같은 외적인 성공이 아니라, 누군가를 돕거나 세상을 조금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그런 목표 말입니다. 이런 목표를 갖는 것이 왜 의미가 있냐면 이 고귀한 목표를 갖는 순간, 우리 뇌와 마음이 아주 특별한 방식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 고귀한목표 • 영적 감정지능 SEQ • 김대영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 지수는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내 삶을 내가 선택하고 있다는 감각”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많았죠. 사실 이건 단순한 불만족이 아니라, 우리가 삶의 방향을 잃고 있다는 신호일지도 모릅니다. 이 문제는 단순히 한국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UC Davis의 연구에 따르면, 삶의 목적이 분명한 사람은 치매 발병 위험이 무려 28%나 낮다고 합니다. 일본의 ‘이키가이(生き甲斐, 삶의 보람)’ 개념 연구도 비슷한 결론을 보여주죠. 결국 전 세계적으로 “삶의 의미와 목적”은 건강, 행복, 그리고 장수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 고귀한목표 • 영적 감정지능 SEQ • 김대영
무려 75년간 724명의 삶을 추적한 데이터! 바로 하버드 성인 발달 연구소가 전해준 삶의 비밀을 나눠 드리려고 합니다. 밀레니얼 세대에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가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80% 이상은 부자가 되겠다고, 절반은 유명해지겠다고 답했습니다. 세상은 끊임없이 더 많이 이루고, 더 열심히 일해야 행복할 수 있다고 말하지요. 하지만 75년에 걸친 장대한 연구가 보여준 결론은 아주 단순했습니다. 👉 우리를 행복하고 건강하게 만드는 것은 성취가 아니라, 좋은 인간관계입니다.